Bayesian P-Value는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합니다.

Bayesian P-Value는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합니다.
Photo by Edgar Chaparro / Unsplash

Bayesian P- Value

  • Bayesian P-Value는 **모델의 적합도(goodness-of-fit)**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사후 분포(posterior distribution)를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와 모델이 생성한 예상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관측된 데이터가 모델에 의해 얼마나 잘 설명되는지를 평가합니다.
  • 빈도주의 p-값은 "관찰된 데이터보다 극단적인 데이터가 나올 확률"을 계산하지만, Bayesian P-Value는 "모델이 실제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계산 방법

  • Bayesian P-Value는 주로 두 가지 값을 비교합니다:
    • 관측된 통계량(Observed Test Statistic): 실제 데이터에서 계산한 통계량입니다
    • 예측된 통계량(Predicted Test Statistic): 사후 분포를 기반으로 모델이 예측한 데이터에서 계산한 통계량입니다.
  • 이 두 통계량을 비교하여 모델이 실제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P_B = P(T(\tilde{y}) \geq T(y) \mid y)$$
  • $T(\tilde{y})$: 모델에 의해 예측된 데이터 $\tilde{y}$에서 계산된 통계량
  • $T(y)$: 실제 관측 데이터 $y$에서 계산된 통계량
  • 베이지안 p-값은 예측된 데이터의 통계량이 실제 관측 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확률로 정의됩니다.

장단점

장점

  • 베이지안 방식의 장점 반영: 불확실성을 자연스럽게 모델링하고, 사전 정보(prior knowledge)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적합도 평가: 모델이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평가하는 유연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단점

  • 직관성 부족: 빈도주의적 p-값처럼 단순히 임계값(예: 0.05)을 넘으면 가설을 기각하는 명확한 기준이 없습니다. 대신, 적합도를 상대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 계산 복잡성: 사후 분포를 샘플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계량을 계산하는 과정이 빈도주의적 방법에 비해 더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코드

  • P-value가 0.75라는 것은, 모델이 예측한 값들이 실제 관측 데이터와 매우 유사하거나 더 나은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확률이 75%라는 의미입니다. 즉, 모델이 우리가 관측한 데이터를 비교적 잘 설명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import pymc as pm  
import numpy as np  
import arviz as az  
  
# 가상의 데이터 생성  
true_mu = 5  
observed_data = np.random.normal(true_mu, 1, size=100)  
  
# 모델 정의  
with pm.Model() as model:  
    # 사전 분포 정의  
    mu = pm.Normal('mu', mu=0, sigma=10)  
    sigma = pm.HalfNormal('sigma', sigma=1)  
      
    # 가능도 정의  
    y = pm.Normal('y', mu=mu, sigma=sigma, observed=observed_data)  
      
    # 사후 분포에서 샘플링  
    trace = pm.sample(1000)  
      
    # 사후 예측 분포에서 샘플링  
    posterior_predictive = pm.sample_posterior_predictive(trace, var_names=['y'])  
  
# Bayesian P-value 계산  
discrepancy = lambda x: np.mean(x)  
T_obs = discrepancy(observed_data)  
  
# posterior_predictive에서 'y' 추출  
pp_y = posterior_predictive.posterior_predictive['y'].values  
  
# T_rep 계산  
T_rep = np.array([discrepancy(y) for y in pp_y])  
  
p_value = np.mean(T_rep >= T_obs)  
  
print(f"Bayesian P-value: {p_value}")  
  
# 추가 정보 출력  
print(f"\nPosterior predictive shape: {pp_y.shape}")  
print(f"T_rep shape: {T_rep.shape}")  
print(f"Observed data shape: {observed_data.shape}")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