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문화를 만들기 위한 10단계

1.문화는 위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 결국 Top-Down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
  • 방법론은 차치하고서라도,  증거 기반으로 목표를 제시하는 자세가 Top-Level부터 있어야 한다.

2.측정을 해야 한다. 꾸준히 해야 한다.

  •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 무엇을 통해서 측정할지 고민해봐야 한다.
  • 불확실성을 줄인다는 관점에서 측정지표를 만들고 꾸준히 데이터를 모으면 트렌드를 알 수 있고, 업무에서의 패턴을 찾을 수 있게 된다.
  • 장기적으로 예측 정확도는 높일 수 있다.

3.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비즈니스 최전선으로 나와야 한다.

  • 데이터사이언티스트는 격리 대상이 아니다. 비즈니스 리더와 자주 어울릴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 이를 통해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비즈니스 가치를 목표로 삼을 수 있도록 가이드 해줘야 한다.
  • 도메인 지식과 기술 노하우를 융합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하고, 조직의 장이 개발을 할 수는 없더라도 수치에 기반한 대화에 익숙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4.기본적인 데이터 접근은 최대한 쉽게 만들어야 한다.

  • 더 많은 직원들이 자신의 업무에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원활히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셀프서비스를 강화하고,
  • 동시에 적절히 큐레이팅된 대시보드 구축을 통해서 많은 구성원이 빠르게 회사의 핵심 지표나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슈를 읽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접근을 용이하게 만들어야 한다.

5.불확실성을 측정해야 한다.

  • 100% 확신할 수 있는 의사결정은 없다.
  • 불확실성을 측정할려고 할 때, 불확실성의 원인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될 것이고, 나아가 실험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탄생할 수 있다.

6.쉬운 것부터 시작해서 성과를 만들어야 한다.

  • 처음부터 완벽할 수는 없다. 오히려 완벽한 계획은 변경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조직에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 작더라도 확실한 과제부터 시도해봄으로써 성공률을 높이고 이를 기반으로 스케일을 키워보는 것이 차라리 낫다.

7. 적절한 시점의 교육이 가장 효과적이다.

  • 한번에 빅뱅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한들, 그 많은 기술을 한 번에 필요로 하는 직원은 없다.
  • 중요한 것은 필요한 시점 직전에, 교육을 들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8.내부 구성원을 위해서 분석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 모두가 개발자가 될 필요는 없다.
  • 하지만 최소한의 외국어가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처럼 업무 자동화(RPA)등을 통해서 기술을 활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면, 기술부서는 조금 더 난이도 있는 업무에 시간을 좀 더 할애할 수 있을 것이다.

9. 단기적 관점에서는 유연성보다는 일관성이 중요하다.

  • 앞서 언급한 직원 교육 차원에서, 다양한 기술을 허용하는 것은 좋으나, 단기적으로는 범용적으로 쓰이는 하나의 언어(예: Python)를 사용하도록 권함으로써, 회사에 데이터 기반 문화가 빠르게 정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10.분석적사고로 설명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 분석은 하나의 절대적인 답과 접근 방식이 있는 것이 아니다.  합의가 있을 뿐이다.
  • 그리고 전 구성원이 만족할 수 있는 합의가 있기 위해서는 많은 분석적 대화가 오고갈 필요가 있다.
  • 리더들은 구성원보다 이런 문화 조성에 앞장서야 한다. 훈수는 잠시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

References

Read mor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
Agentic AI와 MSA, 그리고 회사의 미래

Agentic AI와 MSA, 그리고 회사의 미래

어딜 가도 AI Agent에 대한 이야기가 들리는 요즈음이다. 정말 안하는 회사가 없다. 사람과 다르게 24시간을 일해도 지치지 않고, 재사용성도 가능하니 비용절감측면에서도, 생산성측면에서도 이만한 솔루션이 없기는 하다. 이러한 Agent가 여럿 모여 인간의 개입없이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이른바 Agentic AI다. Agentic AI를 보면 문득 개인적으로는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가 생각난다.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