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문화를 만들기 위한 10단계

1.문화는 위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 결국 Top-Down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
  • 방법론은 차치하고서라도,  증거 기반으로 목표를 제시하는 자세가 Top-Level부터 있어야 한다.

2.측정을 해야 한다. 꾸준히 해야 한다.

  •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 무엇을 통해서 측정할지 고민해봐야 한다.
  • 불확실성을 줄인다는 관점에서 측정지표를 만들고 꾸준히 데이터를 모으면 트렌드를 알 수 있고, 업무에서의 패턴을 찾을 수 있게 된다.
  • 장기적으로 예측 정확도는 높일 수 있다.

3.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비즈니스 최전선으로 나와야 한다.

  • 데이터사이언티스트는 격리 대상이 아니다. 비즈니스 리더와 자주 어울릴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 이를 통해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비즈니스 가치를 목표로 삼을 수 있도록 가이드 해줘야 한다.
  • 도메인 지식과 기술 노하우를 융합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하고, 조직의 장이 개발을 할 수는 없더라도 수치에 기반한 대화에 익숙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4.기본적인 데이터 접근은 최대한 쉽게 만들어야 한다.

  • 더 많은 직원들이 자신의 업무에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원활히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셀프서비스를 강화하고,
  • 동시에 적절히 큐레이팅된 대시보드 구축을 통해서 많은 구성원이 빠르게 회사의 핵심 지표나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슈를 읽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접근을 용이하게 만들어야 한다.

5.불확실성을 측정해야 한다.

  • 100% 확신할 수 있는 의사결정은 없다.
  • 불확실성을 측정할려고 할 때, 불확실성의 원인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될 것이고, 나아가 실험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탄생할 수 있다.

6.쉬운 것부터 시작해서 성과를 만들어야 한다.

  • 처음부터 완벽할 수는 없다. 오히려 완벽한 계획은 변경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조직에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 작더라도 확실한 과제부터 시도해봄으로써 성공률을 높이고 이를 기반으로 스케일을 키워보는 것이 차라리 낫다.

7. 적절한 시점의 교육이 가장 효과적이다.

  • 한번에 빅뱅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한들, 그 많은 기술을 한 번에 필요로 하는 직원은 없다.
  • 중요한 것은 필요한 시점 직전에, 교육을 들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8.내부 구성원을 위해서 분석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 모두가 개발자가 될 필요는 없다.
  • 하지만 최소한의 외국어가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처럼 업무 자동화(RPA)등을 통해서 기술을 활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면, 기술부서는 조금 더 난이도 있는 업무에 시간을 좀 더 할애할 수 있을 것이다.

9. 단기적 관점에서는 유연성보다는 일관성이 중요하다.

  • 앞서 언급한 직원 교육 차원에서, 다양한 기술을 허용하는 것은 좋으나, 단기적으로는 범용적으로 쓰이는 하나의 언어(예: Python)를 사용하도록 권함으로써, 회사에 데이터 기반 문화가 빠르게 정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10.분석적사고로 설명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 분석은 하나의 절대적인 답과 접근 방식이 있는 것이 아니다.  합의가 있을 뿐이다.
  • 그리고 전 구성원이 만족할 수 있는 합의가 있기 위해서는 많은 분석적 대화가 오고갈 필요가 있다.
  • 리더들은 구성원보다 이런 문화 조성에 앞장서야 한다. 훈수는 잠시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

References

Read more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원래는 Amazon에 가서 Personal Knowledge Managment에 관한 책을 사려고 했다. Sketch Your Mind라는 책이었는데, 그 때 이 책 “Reshuffle”을 발견하였다. AI가 어떻게 Knowledge Economy를 흔들 것가? 라는 부제를 훑어보면서 저자가 쓴 다른 책을 보게 되었는데 거기에 내가 좋아했던 책을쓴 저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크게 고민하지 않고 구매를 하고

By Bongho, Lee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올라운드 투자”라는 제목을 보았을 때는,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생각이 났다. “올라운드”라는 표현을 오랜만에 들어본 까닭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고른 것은 저자가 그간 보여준 컨텐츠에 대한 신뢰가 있던 까닭이었다. 컨텐츠를 다양하게 보는 편이지만 깊이가 아주 있지는 않았다. 여기서 깊이라 함은 기존 전문적인 정량적 분석의 내용의 수준을 말하는 것이다.

By Bongho, Le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