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싫어하는 말 - "사실 한다고 하면, 다할 수 있어요"

가장 싫어하는 말 - "사실 한다고 하면, 다할 수 있어요"
Photo by krakenimages / Unsplash

다양한 직군의 개발자와 함께 일하다 보면 종종 이런 말을 들을 때가 있다.

"사실 한다고 하면, 다할 수 있어요"

농담인 것은 알지 나는 이런 말을 주로 하지 말라고 한다. 일당백을 요구하는 스타트업이면 한 명의 개발자가 많은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말은 굉장히 적절한 수준의 참여도를 상징하는 말이라서 듣기 좋을 때까 있다. 특히나 더 고개의 입장에서 내부조직은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뿐만 아니라 결과 중심의 자율조직문화에서는 결국 이러한 태도는 성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리더 입장에서는 꽤나 도움이 된다. 하지만 기업이 커질 수록, 그리고 개인의 커리어 관점에서는 사실 잘 모르겠다. 풀스택 개발자라는 말이 유행한 때가 있고 종종 기업들이 찾는 경우에 이러한 경력이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그 깊이를 따진다면, 굉장히 유니콘과 같은 말로 들린다.

그리고 여기에 IT업계의 특성상 끊임없이 공부를 해야 한다면, 풀스택을 지속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나는 구성원이 저런 말을 한다면, 말리되 적절한 분업체계를 갖출 것을 권하는 편이다. 그리고 동시에 지속가능한 아키텍처를 함께 고민하면서 업무를 직접 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역시 분업체계를 갖춰 적절한 담당자를 찾을지 말이다.

저런 말은 특히 사업 중심의 기업에서는 업무가 한 명에게 몰리는 결과도 낳을 수 있다고 생각되어, 항상 경거망동하지 않아야할 필요가 있다.

Read more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원래는 Amazon에 가서 Personal Knowledge Managment에 관한 책을 사려고 했다. Sketch Your Mind라는 책이었는데, 그 때 이 책 “Reshuffle”을 발견하였다. AI가 어떻게 Knowledge Economy를 흔들 것가? 라는 부제를 훑어보면서 저자가 쓴 다른 책을 보게 되었는데 거기에 내가 좋아했던 책을쓴 저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크게 고민하지 않고 구매를 하고

By Bongho, Lee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올라운드 투자”라는 제목을 보았을 때는,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생각이 났다. “올라운드”라는 표현을 오랜만에 들어본 까닭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고른 것은 저자가 그간 보여준 컨텐츠에 대한 신뢰가 있던 까닭이었다. 컨텐츠를 다양하게 보는 편이지만 깊이가 아주 있지는 않았다. 여기서 깊이라 함은 기존 전문적인 정량적 분석의 내용의 수준을 말하는 것이다.

By Bongho, Le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