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지하철 승하차인원 Open API로 가지고 오기

사업쪽 담당자가 Python으로 공부하다가, 종종 물어보러 온다.

오늘은 지하철 승하차인원을 엑셀로 안받고 직접 API로 가지고 오는 법 물어보길래 최소한으로 코드를 작성해주었다.

Python Crawling은 익숙치 않아서 겸사겸사 기록용으로 남긴다.

Auth는 [서울시 데이터광장](https://data.seoul.go.kr/)가서 받아오면 된다.

import pandas as pd
import requests

result=requests.get(f'http://openapi.seoul.go.kr:8088/{Auth}/json/CardSubwayStatsNew/1/999/20220301')

data=result.json()

df = pd.DataFrame(data['CardSubwayStatsNew']['row'])
print(df.shape)
df.head()

(593, 6) [22]:

USE_DTLINE_NUMSUB_STA_NMRIDE_PASGR_NUMALIGHT_PASGR_NUMWORK_DT
0202203011호선서울역20994.019468.020220304
1202203011호선시청12439.012379.020220304
2202203011호선종각15750.013544.020220304
3202203011호선종로3가16349.014533.020220304
4202203011호선종로5가14036.013472.020220304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