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지금 그렇지 않더라도) 크게 생각해야 크게 이룬다.
루틴을 만들기 위해서는, 목적 아래 정말 기계적으로 해야 하는 것같다. 아침 일찍 일어나야지 마음을 먹은지 오래 되었지만, 어느 순간 삐끗한 이후부터는 더 이상 일어나려고 하지 않는다. 아니 눈을 떠지는 순간, 나는 내 그럴 줄 알았다 하면서 다시금 잠을 청하고 만다. 마치 누군가 내 귀에 패배의식을 속삭이듯 말이다. 이런 느낌은, 긍정확언을
Career
루틴을 만들기 위해서는, 목적 아래 정말 기계적으로 해야 하는 것같다. 아침 일찍 일어나야지 마음을 먹은지 오래 되었지만, 어느 순간 삐끗한 이후부터는 더 이상 일어나려고 하지 않는다. 아니 눈을 떠지는 순간, 나는 내 그럴 줄 알았다 하면서 다시금 잠을 청하고 만다. 마치 누군가 내 귀에 패배의식을 속삭이듯 말이다. 이런 느낌은, 긍정확언을
Thought
나는 대체불가능한 사람인가? 아침에 아이를 돌보면서 문득 들었던 생각이다. 사내에서 하나의 사원번호로 관리되다가 퇴직하기 쉬운 세상에서 대체불가능한 사람이 되려면 어떻게 되어야 하는 것일까? 그 순간 떠오르는 대체불가능한 사람은 다음 두가지 유형에 속하는 사람이었다. 첫째, 말그대로 유니크(Unique)해서 대체불가능한 사람이었다. 대다수의 사람과 달리 구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면 대체되기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Career
거실에 홈캠을 하나 설치할 일이 생겼습니다. 홈캠은 이전에 구매한 것과 동일한 구조로, 회전은 되지 않지만, 앞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찍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습니다. 설치 자체는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문제는 장소였습니다. 거실은 부엌과 연결되어 세로로 긴 구조로 일반적인 정사각형 형태의 방 대비 화각의 한계에서 발생하는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Career
개발자로 계속 일을 하고 싶어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개발팀의 리더로서 성장하고 싶은 이가 있다. 나는 후자였던 것같다. 최근 육아휴직을 하면서 지난 2년간 개발팀 리더로 버티고 지속가능하게 일해오는데 도움이 되었던 몇가지 팁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커뮤니케이션 스킬은 너무나도 중요하다.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팀에게 지시를 하기 보다는 좋은 질문을 던질
Career
연말이 되니, 그간 많이 보지 못했던 업계 동료들을 볼 자리가 많이 생긴다. 그리고 이러한 자리는 우리가 일하는 방식에 대한 생각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곤 한다. 이직을 고민하는 생각이 서로 교차하면서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워낙 다양한 관점을 고려해야 하는 의사결정일 수 있으나, 개인적으로는 시스템과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통해서 기업을 구분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