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블러프, 홀덤, 불확실성, 더 나은 선택, 그리고 성장기

나는 왜 이 책을 읽었는가

  • 텍사스홀덤, 확률, 그리고 성장이라는 키워드 때문이었다. 개인적으로 홀덤을 좋아한다. 잘하지는 못하지만 확률에 기반한 마인드 스포츠(나쁘게 가면 도박일 수 있지만)라는 점 때문에 관심있게 지켜보는 편이다. 그리고 여기에 심리학 박사가 기술한 내용이라는 것에 꽤 끌렸다.

유의해야할 점

  • 홀덤 기술을 알려주지 않는다.
  • 홀덤에 대한 잡다한 용어가 나온다. 물론 뒤에 별도로 용어 설명을 진행하지만 어느 정도 용어를 알지 못하거나, 아예 홀덤을 모른다면 권장하지 않는다.
  • 책의 내용이 상당히 만연체이다. 꽤 지루할 수 있다. 영화로 보면 재미있을만한 긴박한 장면에 대한 묘사가 많이 나오는데, 상상할 수 없다면 지루할 수 있다.

리뷰

  • 포커는 확률 기반의 수학적인 지식도 필요하지만, 블러핑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심리적인 이론도 요구하는 스포츠이다. “수 읽기”라는 것이 어떻게 이뤄지는 지도 이해해야 하는 꽤 힘든 게임이다.
  • 이러한 게임을 심리학 박사인 저자가 이해해나가는 면면이 매우 재미있기도 하지만 중간 중간 저자의 스승인 에릭 사이델(Eric Seidel)의 조언이 사실 제일 백미이다. 어느 분야이든 경지에 도달한 사람은 다르다지만 불확실성 속에 불확실성을 오랜 시간에 걸쳐 줄여나가고 이를 복합적이지만 나름 체계를 정립한 자의 조언은 사실 일반인과는 매우 다르다. 배울 점이 많았다.

기억나는 문구들

  • (사실 엄청 많았고 다 정리해놓았는데, 정리해놓은 Roam의 싱크에러로 대부분 날렸다.)
  • 그래서 우리는 추상적인 형태로 제시되는 정보, 즉 ‘호랑이는 이 지역에서 대단히 휘귀하기에 길을 가다 마주칠 확률은 2퍼센트이며 공격당할 확률은 더 낮다’ 같은 문장에 대응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대신 ‘지난밤에 호랑이가 나타났는데 정말 무서웠어’와 같이 순수한 감정에 대응하는 법을 배웠을 뿐이다. 그로부터 수천 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의 이런 결함은 계속 남아 있으며 이를 ‘설명-경험 간극 Description-Experience Gap’이라고부른다.
  • 포커는 그 어떤 도구와도 다르게 우리가 언제, 어떻게 진정한 통제력을 획득할 수 있는이 어떻게 순수한 운의 요소에 대처할 수 있는지 가르쳐준다.

다시 읽을 의사가 있는가

  • 홀덤에 조금 더 익숙해진 이후에 다시 읽으면 더 재미있을 듯하다.
  • 챕터별로 나눠진 스토리만 봐도 꽤 재미날 수 있다. 물론 뒤로 갈 수록 실력이 늘어나는 부분이 보이지만 적절히 이야기가 특정 주제(예: 스토리텔러의 게임) 형태로 나눠져 있어서 찾아서 보기에는 훨씬 좋았다.

Read mor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
Agentic AI와 MSA, 그리고 회사의 미래

Agentic AI와 MSA, 그리고 회사의 미래

어딜 가도 AI Agent에 대한 이야기가 들리는 요즈음이다. 정말 안하는 회사가 없다. 사람과 다르게 24시간을 일해도 지치지 않고, 재사용성도 가능하니 비용절감측면에서도, 생산성측면에서도 이만한 솔루션이 없기는 하다. 이러한 Agent가 여럿 모여 인간의 개입없이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이른바 Agentic AI다. Agentic AI를 보면 문득 개인적으로는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가 생각난다.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