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블러프, 홀덤, 불확실성, 더 나은 선택, 그리고 성장기

나는 왜 이 책을 읽었는가

  • 텍사스홀덤, 확률, 그리고 성장이라는 키워드 때문이었다. 개인적으로 홀덤을 좋아한다. 잘하지는 못하지만 확률에 기반한 마인드 스포츠(나쁘게 가면 도박일 수 있지만)라는 점 때문에 관심있게 지켜보는 편이다. 그리고 여기에 심리학 박사가 기술한 내용이라는 것에 꽤 끌렸다.

유의해야할 점

  • 홀덤 기술을 알려주지 않는다.
  • 홀덤에 대한 잡다한 용어가 나온다. 물론 뒤에 별도로 용어 설명을 진행하지만 어느 정도 용어를 알지 못하거나, 아예 홀덤을 모른다면 권장하지 않는다.
  • 책의 내용이 상당히 만연체이다. 꽤 지루할 수 있다. 영화로 보면 재미있을만한 긴박한 장면에 대한 묘사가 많이 나오는데, 상상할 수 없다면 지루할 수 있다.

리뷰

  • 포커는 확률 기반의 수학적인 지식도 필요하지만, 블러핑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심리적인 이론도 요구하는 스포츠이다. “수 읽기”라는 것이 어떻게 이뤄지는 지도 이해해야 하는 꽤 힘든 게임이다.
  • 이러한 게임을 심리학 박사인 저자가 이해해나가는 면면이 매우 재미있기도 하지만 중간 중간 저자의 스승인 에릭 사이델(Eric Seidel)의 조언이 사실 제일 백미이다. 어느 분야이든 경지에 도달한 사람은 다르다지만 불확실성 속에 불확실성을 오랜 시간에 걸쳐 줄여나가고 이를 복합적이지만 나름 체계를 정립한 자의 조언은 사실 일반인과는 매우 다르다. 배울 점이 많았다.

기억나는 문구들

  • (사실 엄청 많았고 다 정리해놓았는데, 정리해놓은 Roam의 싱크에러로 대부분 날렸다.)
  • 그래서 우리는 추상적인 형태로 제시되는 정보, 즉 ‘호랑이는 이 지역에서 대단히 휘귀하기에 길을 가다 마주칠 확률은 2퍼센트이며 공격당할 확률은 더 낮다’ 같은 문장에 대응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대신 ‘지난밤에 호랑이가 나타났는데 정말 무서웠어’와 같이 순수한 감정에 대응하는 법을 배웠을 뿐이다. 그로부터 수천 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의 이런 결함은 계속 남아 있으며 이를 ‘설명-경험 간극 Description-Experience Gap’이라고부른다.
  • 포커는 그 어떤 도구와도 다르게 우리가 언제, 어떻게 진정한 통제력을 획득할 수 있는이 어떻게 순수한 운의 요소에 대처할 수 있는지 가르쳐준다.

다시 읽을 의사가 있는가

  • 홀덤에 조금 더 익숙해진 이후에 다시 읽으면 더 재미있을 듯하다.
  • 챕터별로 나눠진 스토리만 봐도 꽤 재미날 수 있다. 물론 뒤로 갈 수록 실력이 늘어나는 부분이 보이지만 적절히 이야기가 특정 주제(예: 스토리텔러의 게임) 형태로 나눠져 있어서 찾아서 보기에는 훨씬 좋았다.

Read more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원래는 Amazon에 가서 Personal Knowledge Managment에 관한 책을 사려고 했다. Sketch Your Mind라는 책이었는데, 그 때 이 책 “Reshuffle”을 발견하였다. AI가 어떻게 Knowledge Economy를 흔들 것가? 라는 부제를 훑어보면서 저자가 쓴 다른 책을 보게 되었는데 거기에 내가 좋아했던 책을쓴 저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크게 고민하지 않고 구매를 하고

By Bongho, Lee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올라운드 투자”라는 제목을 보았을 때는,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생각이 났다. “올라운드”라는 표현을 오랜만에 들어본 까닭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고른 것은 저자가 그간 보여준 컨텐츠에 대한 신뢰가 있던 까닭이었다. 컨텐츠를 다양하게 보는 편이지만 깊이가 아주 있지는 않았다. 여기서 깊이라 함은 기존 전문적인 정량적 분석의 내용의 수준을 말하는 것이다.

By Bongho, Le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