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식물을 보며, 우리는 항상 배울 수 있다, "선인장은 물을 좋아한다"

[책]식물을 보며, 우리는 항상 배울 수 있다, "선인장은 물을 좋아한다"
Photo by Liubov Ilchuk / Unsplash

언제인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회사에서 경제지를 읽고 이야기하는 모임의 뒷풀이였다. 자신의 소개를 하다가 언틋 식물을 좋아해서 글을 쓴다고 하는 분이 있었다. 성격상 그냥 듣고 흘릴 수 없어 글을 찾아보았다.

검색을 해서 본 그 분의 글은 굉장히 인상깊었다. 식물에 이 정도 애정을 쏟을 수 있구나를 처음 느꼈다.  모든 학문은 극의에 도달하면 예술이 된다고 믿는 나에게 그 분의 글에서 느껴지는 식물에 대한 애정과 몰입은 꽤나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그래서 출판을 권하였고, 수개월이 흐른 뒤 이 책을 만나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분이 책을 보내주셔서 이렇게 내가 읽게 되었다.

사실 책을 받고 나서 한동안은 읽지 못했다. 다른 책을 우선 보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가 너무 시간이 흘렀다고 생각해서 이 책을 펼쳐보았다. 사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조금이라도 일찍 읽는 것이 좋았다.

흔히들 독서를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저자와의 대화라고 말한다. 나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대화를 필요한 시점을 잘 고려한다면 최적의 독서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나에게 있어 독서를 하는 이유는 지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함이다. 따라서 적절한 문제가 있을 때, 적절한 책을 잘 활용할 수 있다면 이는 굉장히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육아휴직을 한 이후, 사회와 격리됨을 느끼면서 마음이 허한 부분이 있었다. 가족간에 해결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부분도 있었다. 이 부분을 책이 어느정도는 채워주었다. 마치 내 주위에 많은 사람을 소개받은 느낌이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많은 식묵들과 대화를 하며 삶을 성찰하고 이를 이야기로 남긴다.

그 중에서 튤립에 관한 일화가 눈에 띄었다. 사람이 그러하듯, 꽃도 변화를 일으키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라는 내용의 일화를 읽으면서 오늘도 삶에서 사소함이라도 좋으니 진전에 관한 고민을 하고 그 즐거움을 느끼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드는 글이었다. 사소한 곳에서 행복을 느낄 때 삶이 행복해질 것이고, 행복은 얻는 것이 아니라 누리는 것이라는 말이라는 등.. 많은 글을 읽었다. 하지만 이를 실천하기 어려울 정도로 마음이 힘들 때는 이런 글이 정말 많이 도움이 될 수 있겠다.

대학시절 신경림의 "가난한 사랑노래"를 반복해서 읽은 기억이 난다. 마음에 큰 힘을 내지 않고, 입술에서 새어나오는 소리는 진심을 담고 있을 때가 많다. 주위에 있는 식물을 보면서 삶에 대한 이야기를 가볍지만 묵직하게 던지는 저자의 글을 보면서 좋은 시점에 좋은 글을 읽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