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운영의 소용돌이 속 성과를 내는 원칙, 성과를 내고 싶다면 실행하라

[책]운영의 소용돌이 속 성과를 내는 원칙, 성과를 내고 싶다면 실행하라
Photo by Alexander Grey / Unsplash

올 해 들어 두 번 이상 추천을 받은 책이었다. "성과를 내고 싶다면 실행하라"라는 당연한 책의 제목 속에 어떠한 것을 얻을 수 있는지 궁금하던 차에 가족 여행을 다녀와서 바로 읽었다.

책 내용의 핵심만 언급하라면 다음과 같이 정리가 가능하다.

  • 매일의 긴급한 업무(즉, "회오리바람")가 전략적 이니셔티브를 방해하고 질식시킨다는 것을 인식하기
  • 원칙 1: 가장 중요한 한두 가지 "엄청나게 중요한 목표(WIG)"에 최고의 노력을 집중하기
  • 원칙 2: 목표 달성을 예측할 수 있고 팀원이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영향 "선행 지표"를 식별하고 우선순위를 정하기
    • 후행 지표(lag measures)에만 집중하는 것을 피하기
  • 원칙 3: 팀이 이기고 있는지 지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간단하고 시각적인 "선수용 스코어보드"를 만들어 참여와 성과를 유도하기
  • 원칙 4: 정기적이고 빈번한 팀 회의(WIG 세션)를 만들기
    • 이상적으로는 매주 20~30분 정도로 진행하며, 팀원들이 선행 지표를 움직이는 약속에 대해 서로 책임을 묻기

개인적으로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롭게 본 부분은 바로 원칙 2에서 언급한 선행지표였다. 원칙1의 경우 이 책이 아니어도 레버리비, GTD, 에센셜리즘 등의 책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부분이었다. 아래 내용은 책의 일부를 발췌한 내용으로 시간을 비용최적화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굳이 이 책이 아니어도 원칙 1은 자주 듣는 내용이었다.

많은 사람이 시간은 돈보다 측정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겠지만, 시간에도 기회비용의 개 념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앞서 말했듯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은 당신이 하고 있는 일이 아니라 당신이 하고 있지 않은 일이다. 열심히 일하는데도 기회가 보이지 않는 이유는 당신에게 돈을 벌어다 줄 일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아니라 하고 있지 않은 일이기 때문
이다

이와 달리 원칙2는 그간 본 책에서는 다소 내가 이처럼 디테일하게 다룬 경우를 보지 못했던 것같다. 물론 KPI 관련해서 선행지표는 굉장히 익숙한 개념이지만 팀 관리측면에서는 그다지 신경쓰지 못했던 것같다.

저자에 따르면 선행지표는 다음 두 특성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 예측 가능성(Predictive): 선행지표가 변하면,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인 후행지표(Lag Measure)도 변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어야한다.예를 들어,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할 때, 하루 칼로리 섭취량 제한과 주당 운동 시간은 체중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이다.
  • 영향 가능성(Influenceable): 팀 구성원들이 직접 그 지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차량 고장(지연지표)은 통제할 수 없지만, 정기적인 차량 유지보수(선행지표)는 통제할 수 있다.

위의 내용을 보면서 선행지표의 정의는 납득이 되었지만, 어떻게 찾을지는 생각이 잘 되지 않았다. 나만 이럴까 했는데 이 부분은 저자가 언급하길 모든 회사들이 그러했다고 말하며 선행지표를 찾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4단계로 나누어 소개도 한다.

  • 1단계: 가능성 고려하기 (Consider the Possibilities)
    •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 유용한 질문
      • WIG(Wildly Important Goal)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우리가 이전에 해보지 않은 일은 무엇인가?
      • WIG에 레버리지로 사용할 수 있는 팀의 가장 큰 강점은 무엇인가? 우리의 강점은 무엇인가? 우리의 최고 성과자들은 무엇을 다르게 하는가?
      • WIG 달성을 막을 수 있는 약점은 무엇인가? 무엇을 더 일관성 있게 할 수 있는가?
  • 2단계: 영향력으로 순위 매기기 (Rank by Impact)
    • 선행지표의 수가 너무 많으면 압력이 분산되므로, 소수의 선행지표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 3단계: 상위 아이디어 테스트하기 (Test Top Ideas)
    • 체크리스트
      1. 예측 가능한가(Predictive)?
      2. 팀이 측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Influenceable)?
      3. 지속적인 프로세스인가, 아니면 '한 번 하고 끝내는(once and done)' 것인가?
      4. 팀이 함께 움직일 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5. 측정 가능한가(Measurable)?
      6. 측정할 가치가 있는가(Worth measuring)?
  • 4단계: 선행지표 정의하기 (Define the Lead Measures)
    • 팀 또는 개인 성과 추적 여부
    • 정량적 표준(Quantitative Standard)
    • 정성적 표준(Qualitative Standard)
    • 동사로 간결하게 표현

새로운 업무를 맡게 되는 시점에 맥락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당장 써먹기는 어려울 수 있겠으나, 적어도 업무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조금더 넓은 시야에서 보는데 도움이 될 법한 내용이었다.

나아가 지표관리 관점에서 보다 선행지표 외에도 Vainty Metric이라던가 컨셉을 적절히 활용하여 조직을 넓게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는 점에서 괜찮은 책이었다.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