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역행자

개인적으로 자기계발 서적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 독서모임에서 읽기로 한 책이어서 다소 반 강제의 느낌으로 책을 보게 되었다.

책을 읽기 전에, 유튜브에 저자 자청에 대한 인터뷰가 있어 내용을 훑어보고 시작하니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이 가장 핵심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자는 이를 역행자 6단계 모델이라고 지칭하였다.

  • 1단계 자의식 해체
  • 2단계 정체성 만들기
  • 3단계 유전자 오작동
  • 4단계 뇌 자동화
  • 5단계 역행자의 지식
  • 6단계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왠만한 사람들보다 책을 많이 읽는 입장에서, 최근 들어 책의 끝 페이지를 보았다 $=$ 책을 읽었다로 인지하는 흐름이 스스로에게 보여서 그런지 위의 단계가 가볍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이전의 나라면,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그냥 지나갔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저 내용을 곱씹어보면서, "인지는 하되 실행은 미루고 있는 나"를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자는 실행을 했다는 점에서 매우 달랐다. 마치 자의식을 해체한 것 같지만, 그 해체하고 난 부분부터는 헤매고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다.

환경을 설계하고 있지만, 그 환경 속에서 소모되거나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 듯한 모습을 스스로에게 느꼈다. 정체성을 만들고 유전자오작동 단계가 스스로 그러했다.

그 외 확률이론이라든가, 메타인지에 대한 부분은 직업 측면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강점이기도 했기 때문에 내용에 대해서는 저자의 해당 이론에 대한 이해도와 상관없이 동감할 수 있는 부분으로 내용으로 가득하였다.

여기까지 읽고 나서인지 212p 쯤에 적혀있는 문장은 가슴을 후벼파는 문장이었던 것 같다.

실행력이 높은 사람이 인생이라는 게임에서 쉽게 경제적 자유를 얻는다. 진정한 자유를 얻는다.

정리하면 그렇다. 이 책의 내용은 어떠한 다른 책에서도 볼 수 있는 내용임에는 틀림없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자기계발류의 책에서는 이 책만 보아도 좋다. 저자의 경험이 정답은 아니지만, 저자가 정리해낸 성공하기 위한 6단계의 모델은 충분히 가치가 있고 본인의 모델로 삼기에는 좋다고 생각한다.

물론 단계를 따라가기에 좋다는 것이지, 이 책에서 제시해준 여러 사업 아이디어를 좇아가라는 것은 아니다. 현 시점에서 본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인드셋 자체의 리셋에서는 사실 초반에 억지로 읽어야 했던 마음을 내려놓고 읽기에는 충분히 좋은 책이었다.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