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Frame은 Pandera로, 모델은 Pydantic으로 데이터를 검증한다.

DataFrame은 Pandera로, 모델은 Pydantic으로 데이터를 검증한다.
Photo by Marc Linnemann / Unsplash

Pandera: 데이터프레임 검증에 최적화된 도구

주요 장점

  • Pandas와 통합: Pandas 데이터프레임에 대해 스키마 기반 검증을 수행합니다.
  • 유연한 검증 조건: 열 데이터 타입, 값 범위, Null 여부 등 다양한 검증 조건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 명확한 오류 메시지: 스키마 불일치에 대한 명확한 오류 메시지를 제공합니다.

단점

  • 대용량 데이터 검증에서는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 데이터프레임 외 다른 데이터 구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대안

  • Pydantic(DataFrame이 아닌 일반 데이터 객체 검증에 적합)
  • Cerberus(더 가벼운 데이터 검증 라이브러리)

샘플 코드

import pandas as pd
import pandera as pa
from pandera import Column, DataFrameSchema

# 데이터 스키마 정의
schema = DataFrameSchema({
    "name": Column(str, nullable=False),
    "age": Column(int, pa.Check(lambda x: x > 0), nullable=False),
    "email": Column(str, pa.Check.str_matches(r"^.+@.+\..+$"), nullable=True)
})

# 검증 대상 데이터프레임
data = pd.DataFrame({
    "name": ["Alice", "Bob", "Charlie"],
    "age": [25, 30, -1],
    "email": ["alice@example.com", "bob@site.com", None]
})

# 데이터 검증 수행
validated_data = schema.validate(data)  # 오류 발생 시 명확한 메시지 제공

Pydantic: 모델 기반 데이터 검증 도구

주요 장점

  • 타입 힌트 기반 검증: Python의 타입 힌트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검증합니다.
  • 자동 변환: 입력 데이터 타입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변환합니다.
  • 직관적인 사용법: 직관적인 API로 데이터 검증 로직을 간소화합니다.

단점

  •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부적합합니다.
  • 데이터프레임 기반 분석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대안

  • Marshmallow(직렬화와 데이터 검증 지원)
  • Cerberus(더 간단한 스키마 정의 가능)

샘플 코드

from pydantic import BaseModel, EmailStr, ValidationError

# 데이터 모델 정의
class User(BaseModel):
    name: str
    age: int
    email: EmailStr

# 검증 대상 데이터
user_data = {"name": "Alice", "age": "25", "email": "alice@example.com"}

try:
    # 데이터 검증 및 변환
    user = User(**user_data)
    print(user)
except ValidationError as e:
    print(e.json())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