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보드와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화이트보드와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Photo by Melanie Deziel / Unsplash

최근에 취업준비를 하는 학생들을 코칭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소일 거리로 이 일을 시작하였으나, 생각 외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예를 든다면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던 습관이나 행동패턴을 점검하는 시간으로 종종 활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하려는 것은 그러한 경험의 연속성으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방법을 고민하다보면 문제 정의를 하던 초기 단계 대비 커뮤니케이션의 양이 복잡해지는 편입니다. 어드바이저로서 이들을 돕던 저는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익숙했고, 이 정도는 충분히 취업준비생들이 소화하고 있고, 질문이 없는 것을 보니 제 생각이 맞다고 확신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까보고 이들이 이해한 것을 보니 저와 매우 달랐습니다.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질문도 오고가고 있지 않았습니다. 처음에는 다독거리고 더 많이 말할 수 있도록 라포(Rapport)를 형성해보려 했지만 쉽지 않았습니다. 계속 커뮤니케이션과 기대수준의 차이가 발생했고, 되돌이표도 있었습니다. 그러던 차에, 기존에 설명하던 것들을 포함해서 다음단계를 설명해야 했고 저도 헷갈리는 상황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지난 주에 이야기한 것을 다시 확인해가면서 커뮤니케이션 해야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꺼낸 것이 메모장이었습니다. 정확하게는 옵시디안(Obsidian)이라는 툴이었습니다. 때로는 드로잉(Drawing) 플러그인인 Excalidraw를 쓰기도 하면서 설명을 하였습니다. 차이는 도구를 썼다 뿐이었는데 앞서 언급했던 커뮤니케이션의  갭(Gap)에 대해서는 눈에 띄게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경험의 차이에 대한 부분은 어쩔 수 없지만, 질문은 좀 더 늘어나고 오고가는 대화의 양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메신저와 메시지가 동일한 상황을 피해,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지칭해서 이야기나눌 수 있으니 그런 것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관점에서 메모장이나 화이트보드라는 단순한 툴만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데이터 직군들을 면접볼 때마다 항상 제가 하는 질문 중의 하나는, 도구가 많이 사라졌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입니다. 문제를 상황에 맞게 정의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관점에서는 생각보다 단순한 방식을 제가 너무 경시하고, 말이 많음을 위계상의 권위로 보지 않았나 스스로를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Read mor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
Agentic AI와 MSA, 그리고 회사의 미래

Agentic AI와 MSA, 그리고 회사의 미래

어딜 가도 AI Agent에 대한 이야기가 들리는 요즈음이다. 정말 안하는 회사가 없다. 사람과 다르게 24시간을 일해도 지치지 않고, 재사용성도 가능하니 비용절감측면에서도, 생산성측면에서도 이만한 솔루션이 없기는 하다. 이러한 Agent가 여럿 모여 인간의 개입없이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이른바 Agentic AI다. Agentic AI를 보면 문득 개인적으로는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가 생각난다.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