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만 해결하려고 하면 문제의 수는 많아지고 해결은 안된다.

현상만 해결하려고 하면 문제의 수는 많아지고 해결은 안된다.
Photo by Jeremy Bishop / Unsplash

회사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부서가 많아진다. 전문화라는 측면에서 부서가 많아지는 이유가 설득이 된다. 하지만 부서가 많아지면 얻게 되는 문제도 있다. 바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 파편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각 부서는 각 부서의 목표를 챙기는 상황이 되면서 파편화된 커뮤니케이션으로부터 문제를 분석해서 지표상에서 어떠한 변화를 주려고 시도한다. 분명 어떤 근본적인 원인으로 인해서 파생된 하나의 경우일수 있음에도 적절히 눈을 감고 무시하기도 한다. 부서이기주의가 생기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회사의 리소스는 효율적으로 쓰이지 못하고 여기저기 나눠서 쓰이면서 문제의 해결기간은 길어지고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이런 문제에 집중한 후발주자는 그 문제만을 해결하며 브랜딩을 가지게 되고 선발주자의 아성이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한다.

하지만 각 부서는 회사 전체에 걸쳐 퍼진 문제를 적극적으로 파헤치려고 하지 않는다. 회사의 주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회사의 대리인에서 벗어나지 못한 부서는 그렇게 현상만 해결하려고 하면서 문제를 더욱더 쪼개게 된다.
심한 경우 특정 부서의 문제로 몰아기기도 한다.

그래서 중앙부로서 회사 전반의 구조를 살피는 조직이 대기업에는 존재한다. 컨트롤 타워로 문제의 뿌리를 찾는 것이다. 공대생이라면 누구나 배우는 선형대수도 사실 특정문제를 위한 최적기저벡터탐색에 집중하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인지하려면 선형대수 전체에 걸쳐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회사의 대표는 전체를 이끄는 리더로서 이런 문제가 잘 해결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인사부터 마케팅, 그리고 개발 등의 조직이 대표가 만들고자 하는 문제 해결에 최적화된 환경의 세부적인 환경조성을 주요 미션삼아 지원해야 한다.

이렇게 회사 내부의 단결력과 문화는 회사의 자본과도 같다. 이런 자본이 고갈되어 잠식되면 단기적으로는 문제 없지만 오래 방치하면 부실한 재무제표 탓에 금융기관의 대출 제한, 법인 신용평가등급 하락 등의 불이익이 생길 수 있다.

게임을 좋아해서인지 이런 회사의 자본은 HP(Health Point)와도 같다. 채우지 않으면 고갈된다. MP(Mana Point)등 다른 자본을 이용해 잠시 고갈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이런 부분을 감안시, 회사를 볼 때는 이제 그 회사가 어떤 부분을 강화하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기술력을 강화하는 회사라면 수익성 등에 초점을 맞춘 금융자본이나 고객의 인식도에 초점을 맞춘 브랜드자본이 갖쳐줘 있는지 보라, 없다면 그 기술력은 지속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회사의 생명력은 현상만을 바라보고 문제를 만드는 문화에서 시작되어 지속가능여부가 결정된다.

Read mor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
Agentic AI와 MSA, 그리고 회사의 미래

Agentic AI와 MSA, 그리고 회사의 미래

어딜 가도 AI Agent에 대한 이야기가 들리는 요즈음이다. 정말 안하는 회사가 없다. 사람과 다르게 24시간을 일해도 지치지 않고, 재사용성도 가능하니 비용절감측면에서도, 생산성측면에서도 이만한 솔루션이 없기는 하다. 이러한 Agent가 여럿 모여 인간의 개입없이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이른바 Agentic AI다. Agentic AI를 보면 문득 개인적으로는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가 생각난다.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