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단위로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단위로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hoto by Pavan Trikutam / Unsplash

자전거를 타고 약속장소로 이동하는 중이었습니다. 근처 과일 가게에 이런 문구가 적혀있었습니다. "한 상자에 X,000원" 과일을 직접 사먹지는 않는 편이기 때문에 가격은 모르지만 꽤 매력적인 가격대였습니다. 그래서 잠시 "살까?" 망설였습니다. 하지만 이내 자전거를 타고 다시 가던 길을 갔습니다. 한 상자 안에 몇개가 들어가 있을지를 몰랐기 때문입니다.

이 생각을 비즈니스에 접목시켜보니, 회사가 제공하는 단위와 고객이 원하는 단위가 다른데서 발생하는 리스크에 대해서 고민해보게 되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제가 알고 싶어하는 단위는 상자안에 몇개의 과일이 들어있고, 그래서 상자의 가겨이 얼마였는지였습니다. 이러한 부분에서 가게는 알려주고 싶어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제 해석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1차적으로 고객의 이탈을 예상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간단하지만 명료하게 고객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단위만 맞춰서 어느정도는 수치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How to Measure Anything"이라는 책에 따르면 측정이란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행위"라고 정의된다고 합니다. 즉 잘못된 단위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상의 오해는 불확실성을 더욱 키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적고보니 커뮤니케이션은 정말 힘든 일이네요. 너무 많은 변수가 실시간으로 펼쳐지고 있는... 그런 행위인 것같습니다. "크게 생각할수록 크게 이룬다 (리더의 자기 암시법)" 라는 책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러한 두려움에는 정면으로 맞서되 가급적이면 분할정복을 통해서 좀 더 접근해봐야겠습니다.

Read more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원래는 Amazon에 가서 Personal Knowledge Managment에 관한 책을 사려고 했다. Sketch Your Mind라는 책이었는데, 그 때 이 책 “Reshuffle”을 발견하였다. AI가 어떻게 Knowledge Economy를 흔들 것가? 라는 부제를 훑어보면서 저자가 쓴 다른 책을 보게 되었는데 거기에 내가 좋아했던 책을쓴 저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크게 고민하지 않고 구매를 하고

By Bongho, Lee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올라운드 투자”라는 제목을 보았을 때는,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생각이 났다. “올라운드”라는 표현을 오랜만에 들어본 까닭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고른 것은 저자가 그간 보여준 컨텐츠에 대한 신뢰가 있던 까닭이었다. 컨텐츠를 다양하게 보는 편이지만 깊이가 아주 있지는 않았다. 여기서 깊이라 함은 기존 전문적인 정량적 분석의 내용의 수준을 말하는 것이다.

By Bongho, Le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