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조직]내가 하지 않는데 구성원에게 하라고 할 수는 없다.

[데이터조직]내가 하지 않는데 구성원에게 하라고 할 수는 없다.
Photo by R+R Medicinals / Unsplash

제럴드 M 와인버그는 리더십이란 문제해결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성해나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고 정의한 바 있다. 처음 이 말을 들었으면 이해가 되는 것같으면서도 명확하게 상황이 그려지지는 않았다. 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의 환경이라니, 환경의 범위는 어떻게 되고, 이 환경은 시스템을 언급하는 것만은 아닐텐데, 모든게 명확하지 않은, 뭔가 굉장히 광활한 정의를 가지고 있는 단어들이 사용되었던 탓이지 않나 싶다.

그런데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를 읽다가 왜 리더쉽이 문제해결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성해나가는 과정인지 이해가 되기 시작하였다. 이 책에서 "인출학습"에 대한 내용이 초반에 언급된다. 알고 있는 지식을 꺼냄으로써 지식습득을 더 높일 수 있다는 것이 골자인데, 리더가 딱 그런 상황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리더는 기존의 경험을 바탕으로 스케일을 키우고, 그 경험 내 디테일을 구성원을 통해서 채워나간다. 그런데 이 디테일의합이 전체가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유기적인 환경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게 리더십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부분의 합은 전체가 아니기 때문에 전체의 테두리에 집중한다는 것이 리더십이라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들면서 제럴드 M 와인버그가 내린 리더십의 정의가 이해되었다.

여기까지 생각하고 나니, 리더가 하기 싫어하는 일을 구성원에게 시키는 것자체가 리더와 구성원 모두에게 또다른 리소스 소모로 이어질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도 함께 들었다. 리더의 입장에서는 또다른 스토리라인을 고민해야 하고, 구성원에게는 본인의 리소스를 또 다른 곳에 써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앞서 언급한 내용과 연결지어보면, 결국 문제해결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뒤집어 엎는 행위일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좋지 않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리더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환경을 만든다. 이는 스케일을 키워나가는 과정으로 구성원이 그 안에서 문제해결을 잘해낼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때 리더는 메타인지를 발휘해서 전반적인 환경을 구성하고 관리해나가는데, 이 때 자신이 하지 않는, 싫어하는 문제를 갑자기 언급하는 것은 모두에게 리소스 낭비이다.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