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vity Assumption

Positivity Assumption

  • Formal 하게 말하면 관심 있는 모든 계층 및 노출 수준에 대해서 공변량을 조건부로 하였을 때 특정 수준의 노출이 있을 확률이 0보다 크고 1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이 Positivty Assumption
  • 쉽게 말하면 어떤 두 집단을 비교한다고 할 때, Treatment를 받을 수 있거나, 받지 못할 수 있는, 또는 받게될 표본집단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뜻

Violation

Random non-positivity

  • 우연이든 그렇지 않든 표본 사이즈가 너무 작아서 Treatment 또는 Control만 발생할 경우가 이 케이스
  • 대체로 Continuous Variable과 관련해서 발한다. 예를 들어 연령이 Variable 중 하나인데 특정 연령군의 데이터가 적어서 Treatment와 Control이 나누지 못할 때가 그러하다. 물론 Continuous Variable의 특성상 앞 뒤 연령대의 사람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Interpolation을 할 수도 있다.

Structural non-positivity

  • 구조적으로 아예 실험 환경에서 제외가 되는 경우에서 비롯되는 케이스로 예를 들어 50대 미만을 대상으로 실험한다고 하면 예를 들어 50대 미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고 하면 당연하게도 52세는 포함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이 경우 52세는 Treatment / Control Group에 속할 확률이 0이다. 따라서 Positivity Assumption에 위배가 된다.
image

References

Read more

OLS 기반 인과추론 시 오차항 관련 체크 필요 가정

OLS 기반 인과추론 시 오차항 관련 체크 필요 가정

배경 * 아래 글을 DANBI에서 보다가 더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OLS를 떠받치는 몇 개의 기둥이 있는데 그중 실용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 일치성(consistency)다. 쉽게 말해서 OLS를 통해 도출된 추정량이 있을 때 샘플사이즈가 커지면서 이 값이 참 값으로 접근한다는 것이다. 일치성이 충족되면 우리는 적당하게 큰 표본에 대해서 추정치가 좋은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인공지능이 문제가 아니라 결국 사람이 문제가 될 것입니다.

인공지능이 문제가 아니라 결국 사람이 문제가 될 것입니다.

사람들이 AI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시점 저 판사를 얼른 AI로 교체해야 한다. 유튜브에서 뉴스를 보다 보면 정말 많이 보이는 덧글입니다. 이러한 내용의 덧글이 달릴 때마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공감을 표하곤 합니다. 왜 이렇게 사람들은 이러한 주장에 공감을 표하는 것일까? AI는 시킨대로 하기 때문에 공정하다는 인식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사람들은 아마 AI가

BG/NBD 모델은 고객 생애가치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확률 모델입니다.

BG/NBD 모델은 고객 생애가치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확률 모델입니다.

1. BG/NBD 모델이란? * BG/NBD(Beta-Geometric/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모델은 **고객의 생애 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CLV)**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확률적 모델입니다. * 특히 고객이 반복 구매를 할지, 아니면 더 이상 활동하지 않을지를 추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 모델은 고객의 구매 행태를 두 가지 중요한 개념으로 나눕니다: * 고객은 활성(active)

다중공선성은 잘못된 인과추론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다중공선성은 잘못된 인과추론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다중공선성(Multi Collinearity) * **Multi-Collinearity(다중공선성)**는 독립 변수들 간의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할 때 발생합니다. 즉, 한 독립 변수가 다른 독립 변수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 정도로 상관관계가 높은 상황을 의미합니다. * 이 문제는 주로 회귀 분석에서 나타나며, 변수들 간의 관계를 해석하는 데 있어 큰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회귀식을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