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domized Experiments

어떤 사람들은 3루에 태어났지만 자신이 3루타를 쳤다고 생각하면서 인생을 산다 - Barry Switzer

Association $\neq$ Causation

$$E[Y|T=1] - E[Y|T=0] = \underbrace{E[Y_1 - Y_0|T=1]}_{ATT} + \underbrace{\{ E[Y_0|T=1] - E[Y_0|T=0] \}}_{BIAS}$$

  • 위 식에서 Bias가 없다면  Association $=$ Causation이 성립될 수 있다.
  • 다시 말해서  Treatment Group의 Counterfactual Outcome과 Control Group의 Counterfactual Outcome은 동일해야 한다.

Randomized Experiment

  • 이론적으로는 말이 되나, 현실에서 동일한 조건의 Treatment Group, Control Group을 찾는게 쉽지 않다.
  • Bias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Randomized Experiment가 있다.
  • 이름이 의미하는 바대로 Treatment or Controp Group에 Assign할 때 Random하게 한다. → 이 때 각 Group의 비율을 반드시 동일하게 나눌 필요는 없다.
  • Randomized Experiment는 다음 조건이 성립할 수 있도록 해준다.

$$(Y_0, Y_1) \perp\!\!\!\perp T$$

Potential Outcome

  • $(Y_0, Y_1) \perp\!\!\!\perp T$ 식이 의미하는 바는 Potential Outcome이 Treatment와 독립이라는 뜻이다.
  • Potential Outcome이란, Treatment 또는 Control Group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결과를 말한다.
  • Treatment → Outcome으로 이어지는 인과관계를 보기 위한 목적이니 Outcome이 Treatment와 독립적이지는 않아야 한다. 하지만 Potential Outcome은 Treatment와 독립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 다시 말해서 Treatment 여부를 안다고 해서 Treatment 이전의 Outcome에 대해서는 어떠한 정보를 주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 $E[Y_0|T=0]=E[Y_0|T=1]=E[Y_0]$ 는 ATE(Average Treatment Effect)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게 도와준다.

$$E[Y|T=1] - E[Y|T=0] = E[Y_1 - Y_0]=ATE$$

References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