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를 통해 Key Result가 달성되면 Objective는 자연스럽게 달성된다.
Object와 Key Result의 상관관계
- OKR = Objective + Key Result
- Key Result: Objective를 달성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측정 기준
- Task를 통해서 Key Result를 달성했을때, Objective는 달성된다. - 예
- Objective: 한라산 정상 정복
- Key Result: Objective를 달성했다는 것을 증빙가능한 결과물
- 한라산 백록담이 보이도록 인증샷 찍기
- 고도계로 최소 1,930m 이상이 찍히는 곳까지 올라가기 - 잘못된 Key Result 1 - 목표를 달성했다는 증빙이나 기준이 되지 못한 경우
- 한라산 정상에 오르기 위한 가장 최적의 코스 리서치하기
- 한라산 정상을 오르기 위한 튼튼한 체력 키우기 - 잘못된 Key Reulst 2 - Task와 헷갈린 경우(Task는 과정일뿐!)
- 한라산 입구에서부터 정상까지 4시간 30분 걷기
- 한라산 정복을 위한 필수용품 구매 - Task → Key Result → Objective로 이어지는 Cycle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소 도전적이지만, 달성했을 때 아주 흥분되는 Objective를 선정해야 함
예시
좋은 OKR
- Objective: 전 세계를 누비는 글로벌 인재가 되기 위한 영어 자신감의 기틀 만들기
- Key Results :
- 올해 안에 OPIc, IH 달성 → 점수가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
- 영어잘하는 친구와 분기별 대화를 통해 어휘와 상관없이 막힘없이 의사전달을 한다는 평가 받기 → 정성적일 수 있으나, 피드백 기반의 객관적인 측정 가능
- 최소 1명 이상의 글로벌 인재와의 네트워크 쌓기 → "1명" → 측정 가능 - Next Action: Key Result를 달성하기 위해 철저한 계획과 전략을 세우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