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은 체력이 있을 때 유의미하다.

A sound mind in A sound body

어렸을 적 들었던 영어 속담이다. 이 말이 이전에는 그냥 속담으로만 와닿았다. 하지만 서른 후반에 몰입하게 되자, 상당히 와닿기 시작하고 있다. 체력이 없으면 정신도 흔들리는 것이다. 근지구력으로 버티는 부분도 조금씩 짧아지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여기에 한가지 더 늘어난 부분이 있다. 바로 열정 역시 같은 방향성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체력이라는 연료의 단위당 소모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일이란 무엇인가"를 저술한 고동진 전 삼성전자 사장은 책에서 이렇게 체력의 중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일에 전력투구하고 잠자는 시간까지 줄여가며 외국어를 공부하는 노력도 중요하지 만, 그 과정에서 건강을 소홀히 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입니다. 알 하는 사람에겐 체력'도 능력입니다. 체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이 무리 열심히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기 때문이죠

체력의 회복속도와 소진속도간의 불균형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방향성과도 같은 열정에 대해서는 보다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였다. 마치 대기권을 돌파하기 위해 체력을 소모하는 형태의 일보다는 지금의 일을 더 이해하거나, 또는 적절한 일을 찾는 형태로 열정의 방향성과 체력을 함께 잘 쓰지않을 경우, 제자리에서 허덕이다 지치는 오리와 같은 삶이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열정도 체력이 없이는 방향에 대한 추진력을 잃을 수 있다.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