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힘: 토르: 라그나로크

퇴근길이었다. 책을 읽기는 그렇고, 유튜브를 켰는데, 유튜브 알고리즘에 이끌려서 나온 영상을 생각없이 보게 되었다. 바로 토르 라그나로크에서 토르가 죽음의 신인 누나에게 연달아 패하고 죽기 직전, 자신이 어떤 신인지 알고 나는 장면이다. 이 장면을 전환점으로 영화 내용 전개가 바뀌게 된다.

Source: Youtube

<토르 각성 전투 장면 | 토르: 라그나로크 (Thor: Ragnarok, 2017)>

너무나도 유명한 Led zeppelin의 Immigrant song에 이 장면이 오버랩되는 이 영상을 보는데, 괜시리 마음이 오랜만에 흥분되는 느낌이었다. 최근 들어 체력이 급강하하고 이로 인해서 다소 지친 퇴근 길이었다.

그런데 음악의 비트와 함께 심장이 빠르게 뛰면서 다시 활력이 몸의 곳곳에 스며드는 것을 느꼈다. 잠깐이었지만, 10대 말 20대 초때 블라인드 가디언이라든가, 할로윈 등 멜로딕스피드메탈에 꽂혔던 기억이 났다. 드럼의 빠른 비트 속에, 싱크가 간만에 맞춰지는 느낌이라고 해야할까?

"상자밖에 있는 사람"이라는 책을 보면 "자기배반"이라는 말이 나온다.  "자기배반"이란 다른 사람을 위해 내가 해줘야 한다고 느끼는 것에 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쉽게 생각하면 본능적으로 느낀 감정을 무시하기 위해서 하는 자기합리화를 의미한다. 누군가를 도와줘야 하는데, 그러기 싫어서 또다른 이유를 만드는 것이다. 여기서는 가까이 있는 내 자신을 위로하지 않고 "어쩔 수 없잖아 해야만 살아내"라고 하는게 자기배반처럼 느껴졌다.

이런 상황을 마음 속 깊숙히 묻어두고 살고 있었는데, 음악은 이런 마음을 한번에 꺼내 올리니, 삼국지5에 이어서 음악의 힘을 다시 한 번 느낀 하루였다.

Read mor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 경험이란 무엇일까?

고객경험이란 무엇일까? 1. 과거 어느 대형 프로젝트에서 있던 일이다. 신사업을 위해서 예측 모델 값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데이터도 없고,어느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해야 하는지 답이 없었다. 점추정을 할 것인가? 구간 추정을 할 것인가를 가지고 논의중이었다. Product Manager 줄기차게 고객경험을 내세우며 점추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근거는 오롯이 "고객 경험"이었다.

By Bongho, Lee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 수정구슬이 아닌 목표를 향한 냉정한 나침반

수요예측의 정의와 비즈니스에서의 중요성 기업의 성장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경영진들이 수요예측을 미래 판매량을 정확히 맞히는 '예언'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수요예측의 본질을 오해하는 것이다. 수요예측의 진짜 의미: 미래를 점치는 수정구슬이 아니라,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를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