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R] 코로나 이후 우리의 모습은 어떻게 바뀔까? (What Is the Next Normal Going to Look Like?)

HBR에서 “What Is the Next Normal Going to Look Like?“이란 기사를 봤는데 코로나 이후 변하는 사회에 대해 시스코(Cisco), 월터스 클루베(Wolters Kluwer/출판사), 메드트로닉(Medtronic/헬스케어), 맥킨지(McKinsey &  Company)의 CEO들이 토론한 내용을 싣고 있어서 읽어보았다. 읽는 과정에서 생각하지 못한 좋은 부분이 있어서 기억이 나는대로 발췌하였다. 일부 내용은 지금 회사의 행보를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되었다.  아래 내용이 한 데 나온 것이 아니라, 각각 문단(Paragraph)별로 다른 내용이다.

리더는 보다 더 솔직해야 한다. 과할정도로 구성원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코로나 위기와 상관없이 회사는 위기의 규모보다는 상당히 잘 운용이 될 것이다. 다만 창의성을 요구하는 업무, 특히 디자인 업무는 협력(Collaboration)이 요구되기 때문에 지금처럼 WFH(Work from home)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지가 관건이다.

헬스케어는 기술의 수혜를 보다 적극적으로 받게 될 것이고 변화가 가속화될 것이다. 더 많은 정보가 일반인에게 공유될 것이다.

오프라인 매장은 COVID-19로 인해서 상당히 많이 폐쇄가 되었으나 COVID-19가 완화된 이후에는 제품을 경험하는 장소로 재편될 것이다. 특히 Gen Z와 같이 쇼핑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을 하는 세대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장소로 다시금 활용될 것이다.

영리 섹터와 정부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더 많은 협력을 요구받게 될 것이고 정부는 이전보다 더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재편이 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패션섹터는 WFH가 증가함에 따라서  기존의 트랜드 기반 뿐만 아니라 건강 및 웰빙 등을 감안한 전략을 세워야할 필요가 있다.

이미지 출처:  The Financial Times

Read more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책]Reshuffle: Who wins when AI restacks the knowledge economy

원래는 Amazon에 가서 Personal Knowledge Managment에 관한 책을 사려고 했다. Sketch Your Mind라는 책이었는데, 그 때 이 책 “Reshuffle”을 발견하였다. AI가 어떻게 Knowledge Economy를 흔들 것가? 라는 부제를 훑어보면서 저자가 쓴 다른 책을 보게 되었는데 거기에 내가 좋아했던 책을쓴 저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크게 고민하지 않고 구매를 하고

By Bongho, Lee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책]올라운드투자, 누군가의 투자일기

“올라운드 투자”라는 제목을 보았을 때는,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생각이 났다. “올라운드”라는 표현을 오랜만에 들어본 까닭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고른 것은 저자가 그간 보여준 컨텐츠에 대한 신뢰가 있던 까닭이었다. 컨텐츠를 다양하게 보는 편이지만 깊이가 아주 있지는 않았다. 여기서 깊이라 함은 기존 전문적인 정량적 분석의 내용의 수준을 말하는 것이다.

By Bongho, Lee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내가 놓치고 있던 미래, 먼저 온 미래를 읽고

장강명 작가의 책은, 유학시절 읽고 처음이었다. 유학시절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은 동기부여가 상당히 되는 책이었다. 한국을 떠나 새로운 정채성을 학생으로서 Build up 해나가고 있던 상황에서 이 책은 제목부터 꽤 솔깃하였다. 물론 결말이 기억날 정도로 인상깊은 책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장강명 작가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던

By Bo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