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나이프 샘플링은 표본의 변동성 추정 방법중 하나입니다.

잭나이프 샘플링은 표본의 변동성 추정 방법중 하나입니다.
Photo by Ellena McGuinness / Unsplash

잭나이프 샘플링이란?

  • 잭나이프 샘플링은 표본 데이터에서 하나의 관측치를 제거한 여러 하위 샘플을 만들어, 이들 샘플에 대해 통계량을 계산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표본의 변동성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잭
  • 나이프는 주로 표본의 분산을 추정하거나 통계량의 편향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시

  • 주어진 표본이 [x1, x2, x3, x4]라면, 잭나이프 샘플링은 다음과 같은 하위 샘플을 생성합니다
    • [x2, x3, x4] (x1을 제거)
    • [x1, x3, x4] (x2를 제거)
    • [x1, x2, x4] (x3을 제거)
    • [x1, x2, x3] (x4를 제거)
  • 각 하위 샘플에서 계산된 통계량을 이용해 전체 표본의 통계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장점

  • 편향 감소: 잭나이프 샘플링은 통계량의 편향을 줄이는 데 유용합니다. 이를 통해 더 신뢰할 수 있는 추정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단순성: 잭나이프 샘플링은 비교적 간단한 기법으로, 코드 구현이 용이합니다. 특히 표본의 크기가 작을 때 효과적입니다.
  • 이론적 근거: 잭나이프는 중심극한정리에 기반한 방법으로, 충분히 큰 표본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입니다.

단점

  • 표본 크기 의존성: 잭나이프 샘플링은 표본의 크기에 따라 성능이 달라집니다. 작은 표본에서는 부트스트랩과 비교하여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부분적 정보 손실: 샘플링 과정에서 하나의 관측치를 제거하므로, 정보가 일부 손실될 수 있습니다
  • 시간 소모: 표본 크기가 클 경우, 모든 하위 샘플에 대해 통계량을 계산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대안

  • 부트스트랩(Bootstrap) 샘플링은 잭나이프 샘플링의 대안으로, 원본 표본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여러 번 샘플링하는 기법입니다. 부트스트랩은 잭나이프에 비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대규모 데이터셋에 유리합니다.

Sample Code

import numpy as np

def jackknife_sampling(data, statistic):
    """
    잭나이프 샘플링을 통해 통계량을 추정하는 함수
    
    Args:
        data (array-like): 원본 데이터 샘플
        statistic (function): 계산할 통계량 함수 (예: np.mean)
    
    Returns:
        tuple: (잭나이프 추정치, 잭나이프 표준 오차)
    """
    n = len(data)
    jackknife_estimates = np.zeros(n)

    # 각 샘플에서 하나의 데이터 제거 후 통계량 계산
    for i in range(n):
        jackknife_sample = np.delete(data, i)
        jackknife_estimates[i] = statistic(jackknife_sample)
    
    # 잭나이프 추정치 계산
    jackknife_mean = np.mean(jackknife_estimates)
    
    # 잭나이프 표준 오차 계산
    jackknife_se = np.sqrt((n - 1) * np.mean((jackknife_estimates - jackknife_mean) ** 2))
    
    return jackknife_mean, jackknife_se

# 샘플 데이터
data = np.array([2.5, 3.0, 3.5, 4.0, 4.5, 5.0])

# 평균의 잭나이프 추정치와 표준 오차 계산
mean_estimate, se_estimate = jackknife_sampling(data, np.mean)

print(f"Jackknife Mean Estimate: {mean_estimate}")
print(f"Jackknife Standard Error: {se_estimate}")

Read more

다중공선성은 잘못된 인과추론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다중공선성은 잘못된 인과추론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다중공선성(Multi Collinearity) * **Multi-Collinearity(다중공선성)**는 독립 변수들 간의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할 때 발생합니다. 즉, 한 독립 변수가 다른 독립 변수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 정도로 상관관계가 높은 상황을 의미합니다. * 이 문제는 주로 회귀 분석에서 나타나며, 변수들 간의 관계를 해석하는 데 있어 큰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회귀식을 $Y=

Bayesian P-Value는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합니다.

Bayesian P-Value는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합니다.

Bayesian P- Value * Bayesian P-Value는 **모델의 적합도(goodness-of-fit)**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사후 분포(posterior distribution)를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와 모델이 생성한 예상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관측된 데이터가 모델에 의해 얼마나 잘 설명되는지를 평가합니다. * 빈도주의 p-값은 "관찰된 데이터보다 극단적인 데이터가 나올 확률"을 계산하지만, Bayesian P-Value는 "모델이 실제

Non-Identifiability는 Model Parameter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없는 현상입니다.

Non-Identifiability는 Model Parameter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없는 현상입니다.

Non Identifiability * Non-Identifiability는 주어진 데이터와 모델에 대해 특정 파라미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즉, 여러 파라미터 값들이 동일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특정 파라미터 값을 확정적으로 추정하기 어렵게 됩니다. * 베이지안 추론에서 Non-Identifiability는 사후 분포가 특정 파라미터 값에 대해 명확하게 수렴하지 않고, 여러 값들에 대해 비슷한 확률을

Rootgram은 큰 분산을 갖거나 비정규 형태의 데이터를 위한 히스토그램입니다.

Rootgram은 큰 분산을 갖거나 비정규 형태의 데이터를 위한 히스토그램입니다.

Rootgram * 히스토그램의 변형으로 데이터가 비정규적이거나 큰 분산을 가지는 경우, 정확한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일반적으로 히스토그램은 데이터의 빈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큰 값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잘 드러내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Rootgram은 빈도를 제곱근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 분포의 차이를 더 잘 시각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여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