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IDER-ED
살기
읽기
일하기
함께 일하기
분석하기
인과추론
Sign in
Subscribe
Team
Team
[데이터조직]구성원에게 칭찬 대신 해야할 것 - 상상이 이뤄질 때를 상상하게 하라
만약 당신에게 요술봉이 있다면 어떤 결정을 내리겠습니까?" '기회'를
Team
[데이터조직]당신의 구성원은 스페셜리스트가 되고 싶은가?
현재 담당하고 있는 팀은 2주에 한 번씩 1:1을 준비한다. 팀에는 연차가
Team
[데이터조직]구성원의 상성을 고려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어린 시절, 삼국지나 프린세스 메이커 등의 육성 게임을 많이들 해보았을 것이다. 우리가
Team
[데이터조직]팀을 운영할 때 모든 것을 알아야할 필요는 없다.
보통 팀에서 일을 가장 잘하던 사람들이 리더로 올라가게 된다. 프로덕트 조직에서 리더가
Team
[데이터조직] 구성원 중 레버리지할 수 있는 사람을 찾아라
팀이 일정이상 커지기 전까지는 디테일하게 팀원 개개인을 챙길 수 있다. 하지만 팀의
Team
[데이터조직]커뮤니케이션에서 반드시 들어가야할 것 - Why
사이먼 시넥의 "Start with Why"이라는 책이 있다. 국문으로는 "
Team
[데이터조직] 팀을 맡고 먼저 해야 하는 것, 면담
팀을 맡아서 운용한지도 1년을 훌쩍 넘었다. 처음 팀장을 맡았을 때를 생각해 보면
Book
[책]의사결정에서 확률적 사고가 갖는 힘과 경험적 근거에 대해서, “최고의 결정“
제목이 꽤 매력적이지 않은가? “최고의 결정”이라니… 거기에 호황과 불황을 모두 포함해서
Team
[데이터 조직]팀의 목표는 회사의 비전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지금 회사 입사 이후에 깨달은 사실 중 하나였고, 데이터 조직도 예외는 아닌
Team
함께 데이터 프로덕트를 만들 때 성과는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데이터 프로덕트를 만들 때는 보통 두가지 경우가 있다. 하나는 주도적으로 프로덕트를 구성하는
Team
실제 상품과 다른 (보기좋고 이쁜) 이미지를 보고 선택을 강요받는 소비자
얼마전 저녁을 위해 피자를 포장하러 밖에 다녀올 일이 있었다. 아내가 고른 피자
Data
언제 데이터 과학자를 채용하고 조직을 구성해야할까?
정답은 비즈니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존의 방안에서 답이 없다고 판단할 때이다. 보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