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Business

[책]린 분석, 어떤 지표를 봐야 하는가?

한 줄평 서비스 지표를 처음 분석해야 하는 입장에서 무엇을 분석해야할지 잘 모르겠다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 서평 작년 하반기 서비스 지표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그리고 그 지표를 고도화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에 어떤 지표를 추가적으로 봐야할지 고민하던 중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정성적? & 정량적? 저자는 정성적인 관찰결과는 현상에 대한

Book

[책] How to Measure Anything, 측정을 재 정의하다.

제목만 보면 참 사기같은 책이다. 누가 보기에도 세상에는 측정하기 어려운 것이 많은데 말이다. 당장 생각해보아도 생산성, 보안, 분석 능력은 측정하기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측정의 정의를 살짝 비틀어보면 앞서 언급한 것들을 포함하여 생각보다 많은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 우리는 측정을 “정확한 값을 계산하는 것”, “하나의 숫자로 줄이는 것” 등이라고 정의하곤

Business

플랫폼의 B2C KPI에 대한 생각

조직에서 KPI 데이터 관련 업무를 맡기 시작한 지 4개월 정도가 되었다. 그리고 최근 KPI 관련하여 지표를 내부 부서 단위에서 재정비를 해야 하는 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라는 정의 이상으로 KPI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던 필자였다. 그래서 주말에 KPI에 대해서 간략하게 찾아보고 “플랫폼에서 KPI는 어떻게 가져가는 것이 좋을까?

Business

[책] 자기경영노트 - 지식근로자로 살아남기 위한 기본

한줄평 지식근로자로서, “조직”에서 평생을 일한다면(일하고 싶다면) 읽어야 하는 책 서평 2015년으로 기억한다. 사무실에 덩그라니 홀로 앉아서 야근을 하고 있을 때였다.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업무를 바라보면서 키보드를 두드리고 있었다. 끝내야 한다는 마음 하나만 부여잡고 말이다. 그 때 처음으로 마음 속에 하나의 질문이 떠올랐다. “어떻게 일하는 것이 잘하는 것일까?” 히로나카

Business

데이터 기반 마케팅 평가 관리의 모든 것, "마케팅 평가 바이블"

제목: 마케팅 평가 바이블(링크) 평점: 4 / 5 독서 기간: 17/08/21– 17/08/27 마케팅은 돈을 버는 부서인가 돈을 쓰는 부서인가? 한창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usinss Intelligence) 부서에서 일하다가 마케팅 부서로 자리를 옮겼을 때 매번 자문했던 질문이다. 이전 부서에는 한국 최대의 화장품 회사를 대상으로 내 능력을 팔았기에 확실히 나는

Business

[HBR]AI가 브랜드를 대표하기 시작할 때 고민해야할 것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를 훑어보다 재미있는 글이 하나 올라왔다. 글의 원 제목은 “When AI becomes the new face of your brand“이다. AI가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엑센추어(Accenture)에서 1000여개의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AI 활용여부를 조사해본 결과 39%의 회사들이 고객 대응에, 35%의 회사들이 영업과 마케팅에 AI를 사용하고 있다고